외국어 숙어집

형용사 1   »   ಗುಣವಾಚಕಗಳು ೧

78 [일흔여덟]

형용사 1

형용사 1

೭೮ [ಎಪ್ಪತೆಂಟು]

78 [Eppateṇṭu]

+

ಗುಣವಾಚಕಗಳು ೧

[guṇavācakagaḷu -1.]

각 공백을 클릭하여 텍스트를 보거나:   

한국어 칸나다어 놀다
나이 든 여인 ಒಬ-- ವ------ ಮ----. ಒಬ್ಬ ವಯಸ್ಸಾದ ಮಹಿಳೆ. 0
Ob-- v--------- m-----. Obba vayas'sāda mahiḷe.
+
뚱뚱한 여인 ಒಬ-- ದ--- ಮ----. ಒಬ್ಬ ದಪ್ಪ ಮಹಿಳೆ. 0
Ob-- d---- m-----. Obba dappa mahiḷe.
+
호기심 많은 여인 ಒಬ-- ಕ---------- ಮ----. ಒಬ್ಬ ಕುತೂಹಲವುಳ್ಳ ಮಹಿಳೆ. 0
Ob-- k------------ m-----. Obba kutūhalavuḷḷa mahiḷe.
+
     
새 차 ಒಂ-- ಹ-- ಗ---. ಒಂದು ಹೊಸ ಗಾಡಿ. 0
On-- h--- g---. Ondu hosa gāḍi.
+
빠른 차 ಒಂ-- ವ----- ಗ---. ಒಂದು ವೇಗವಾದ ಗಾಡಿ. 0
On-- v------- g---. Ondu vēgavāda gāḍi.
+
편한 차 ಒಂ-- ಹ------- ಗ---. ಒಂದು ಹಿತಕರವಾದ ಗಾಡಿ. 0
On-- h----------- g---. Ondu hitakaravāda gāḍi.
+
     
파란색 원피스 ಒಂ-- ನ--- ಅ---. ಒಂದು ನೀಲಿ ಅಂಗಿ. 0
On-- n--- a---. Ondu nīli aṅgi.
+
빨간색 원피스 ಒಂ-- ಕ---- ಅ---. ಒಂದು ಕೆಂಪು ಅಂಗಿ. 0
On-- k---- a---. Ondu kempu aṅgi.
+
녹색 원피스 ಒಂ-- ಹ---- ಅ---. ಒಂದು ಹಸಿರು ಅಂಗಿ. 0
On-- h----- a---. Ondu hasiru aṅgi.
+
     
검은색 가방 ಒಂ-- ಕ---- ಚ--. ಒಂದು ಕಪ್ಪು ಚೀಲ. 0
On-- k---- c---. Ondu kappu cīla.
+
갈색 가방 ಒಂ-- ಕ--- ಚ--. ಒಂದು ಕಂದು ಚೀಲ. 0
On-- k---- c---. Ondu kandu cīla.
+
하얀색 가방 ಒಂ-- ಬ--- ಚ--. ಒಂದು ಬಿಳಿ ಚೀಲ. 0
On-- b--- c---. Ondu biḷi cīla.
+
     
좋은 사람들 ಒಳ---- ಜ-. ಒಳ್ಳೆಯ ಜನ. 0
Oḷ---- j---. Oḷḷeya jana.
+
친절한 사람들 ವಿ--- ಜ-. ವಿನೀತ ಜನ. 0
Vi---- j---. Vinīta jana.
+
흥미로운 사람들 ಸ್-------- ಜ-. ಸ್ವಾರಸ್ಯಕರ ಜನ. 0
Sv---------- j---. Svārasyakara jana.
+
     
사랑스러운 아이들 ಮು---- ಮ-----. ಮುದ್ದು ಮಕ್ಕಳು. 0
Mu--- m------. Muddu makkaḷu.
+
건방진 아이들 ನಿ------ ಮ----ು ನಿರ್ಲಜ್ಜ ಮಕ್ಕಳು 0
Ni------ m-----u Nirlajja makkaḷu
+
얌전한 아이들 ಒಳ---- ಮ-----. ಒಳ್ಳೆಯ ಮಕ್ಕಳು. 0
oḷ---- m------. oḷḷeya makkaḷu.
+
     

컴퓨터는 들은 단어를 재현할 수 있다

생각을 읽을 수 있는 것은 인간의 오래된 꿈이다. 다른 사람이 무엇을 생각하는지를 누구나 언젠가는 알고싶어 한다. 아직은 그 꿈이 현실화되지 않았다. 현대 기술로서도 우리는 생각을 읽을 수 없다. 다른 이들이 생각하는 것은 그들의 비밀로 남는다. 하지만 다른 이들이 듣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! 그것은 과학적인 실험이 보여줬다. 과학자들은 들은 단어를 재현하는데 성공했다. 그러기 위해서 이들은 실험 대상자들의 뇌주파수를 분석했다. 우리가 무엇을 들을 때 우리의 뇌는 활동을 한다. 뇌는 들은 언어를 처리해야 한다. 이때 특정 활동무늬가 생겨난다. 이 무늬는 전극을 통해 기록할 수 있다. 이 기록도 계속 처리가 가능하다! 컴퓨터를 가지고 이들을 음향무늬로 변형시킬 수 있다. 이렇게 들은 단어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다. 이 원리는 모든 단어에 적용된다. 우리가 듣는 각 단어는 특정 신호를 만들어낸다. 이 신호는 항상 언어의 음향과 연관되어 있다. 그러니 ‘단지’ 음향 효과 신호로만 해석해야 한다. 왜냐하면: 음향무늬가 있으면 단어를 알 수 있다. 실험에서 실험 대상자들이 실제 단어와 가짜단어를 들었다. 그러니깐 달은 단어의 일부는 존재하지 않는 단어들이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단어들도 재현이 가능했다. 인식된 단어들은 컴퓨터를 통해 발음될 수도 있다. 하지만 이들을 오로지 화면에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. 연구자들은 이제 언어신호를 곧 잘 이해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. 독심술의 꿈은 계속된다.